블로그 내용
wsl2의 window terminal을 사용하면서 사용하게 되는 리눅스의 삭제 명령어를 정리해 봅니다.
리눅스 삭제 기본 명령어 rm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할 때
rm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rm은 remove의 약자입니다.)
rm [옵션] [삭제하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
※ 삭제는 항상 신중하게 진행해 주세요.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
다른 옵션 없이 rm만 사용한다면
디렉터리는 삭제하지 않고 파일만 삭제합니다.
예를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workspace라는 폴더에
test 폴더와 test.js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test폴더와 test.js를 rm 명령어만
사용해서 삭제하면 어떻게 될까요?
rm test test.js
위 캡처 화면처럼
디렉터리(폴더)는 삭제되지 않고
파일인 test.js만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렉터리(폴더)를 삭제하는 방법
그럼 디렉터리를
삭제할 때는 어떻게 할까요?
몇 가지 명령어가 있지만,
rm 명령어에 -r 옵션을 추가하면
디렉터리(폴더)도 같이 삭제해 주게 됩니다.
위와 동일한 예제로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rm -r test test.js
위 캡처 화면처럼
-r 옵션을 사용하니까
파일뿐만 아니라 디렉터리(폴더)도
함께 삭제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f
rm 명령어를 사용하다 보면
-f 옵션을 같이 사용해 주게 됩니다.
-f 옵션은 강제하는 옵션입니다.
리눅스는 폴더 하위에
다른 폴더나 파일이 있는 경우에
삭제를 진행할 수 없게 되어있는데요
이런 부분을 무시하고 삭제를
진행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앞선 예제에서
test 폴더에 inner.js라는 파일을 하나 추가하고
테스트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 아래 두 가지 명령어를 비교해보세요.
rm -r test test.js
rm -rf test test.js
참고 사항
※ 권한 문제로 인해서
실제로 삭제가 되지 않았지만
-f 옵션의 유/무에 따라서
중간 과정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세요
-f 옵션을 사용하는 것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rm을 터미널에서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r, -f
두 가지 옵션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삭제할 때는 항상 주의해서
다시 한번 살펴보고 삭제하시면
시간과 정신건강을 지키는 습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