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이야기/개발환경

Window 11 pro WSL2에 Node.js 환경 설정 해보기

by 듣기좋은키보드소리 2023. 3. 12.

 

블로그 내용 요약
Window 11 pro의 WSL2 환경에 Node.js를 설치해서 기본 화면을 표시하는 것까지 정리합니다.

 

이전 글에서 Window 11 pro에

WSL2 환경 설정을 진행했습니다.

혹시 아직 WSL2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서

WSL2를 설치해 보세요.

 

 

 

Window 11 pro에서 WSL2로 개발 환경 설정 만들어 보자

블로그 내용 요약 UI 개발자가 window 11 pro에서 Linux를 활용하기 위해 WSL2를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합니다. WSL이란 무엇인가? Window Subsystem for Linux의 약자로 이 글에서는 WSL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

dev.dearmyday.com


Linux 패키지 관리자 apt
최신 상태로 만들기

일단 패키지들을 설치하기 전에

패키자 관리자인 apt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를 해주려고 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apt-get update
sudo apt-get update // 권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sudo 사용

 

아래 이미지처럼

저의 경우 sudo를 입력하지 않고 했더니

권한 문제 (Permission denied)가 발생해서

sudo를 붙여서 다시 실행했습니다.

 

 

window terminal에서 sudo apt-get update 실행 결과 화면

 


Node.js 버전 관리를 위한
nvm 설치하기

Node.js도 다양한 버전들이 있고

앞으로도 버전들이 새롭게 나올 텐데요.

그때마다 원하는 버전을 설치하는 건

너무 비효율적이겠죠.

그래서 Node.js의 버전을 편하게 바꿔서

사용할 수 있는 버전 관리자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저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nvm을 이용해서 Node.js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cURL 설치

명령줄을 사용해서 인터넷에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인

cURL을 먼저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curl

 

위 명령어를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master/install.sh | bash

 

window terminal에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 terminal에 cURL 설치하는 화면

 

cURL을 이용해
NVM 설치하기

아래 cURL 명령어를 이용해서

nvm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master/install.sh | bash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처럼 nvm이 설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 terminal에 nvm 설치하는 화면

설치 후에 window terminal을 끄고

다시 시작해 주세요. 

 

그리고 nvm 설치가 잘 되었는지

아래의 명령어들을 통해서 확인해 주세요.

(아래 첨부된 이미지도 함께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command -v nvm
nvm --version
nvm ls

 

window terminal 에서 nvm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화면

 

 

Node.js 버전 설치하기

Node.js의 현재 기준 최신 버전은

v19.7.0입니다.

저 같은 경우 최신버전은 사용하지 않고

안정적인 LTS 버전을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LTS가 현재는 v18.15.0이네요.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주세요.

nvm install --lts

 

window terminal에서 nvm을 이용해 node.js lts 버전을 설치하는 화면

 

Node.js를 실행해 보자

설치된 Node.js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해 봐야겠죠?

 

root폴더로 이동해서

workspace라는 이름의

폴더를 하나 만들어 줍니다.

(아래 명령어들과

캡처된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cd / // root 폴더로 이동 합니다.
sudo mkdir workspace // workspace 폴더를 하나 만들어 줍니다.
cd workspace // workspace 이동
sudo vi test.js // test.js 파일을 생성하면서 내용을 작성 할 준비를 합니다.
node test.js // node.js를 이용해서 test.js 파일을 실행합니다.

node.js를 실행해보기 위한 test.js 파일을 생성 및 실행하는 캡쳐 화면

위에 이미지를 보시면

window terminal에 

hello world라고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